네트워크에 대한 현실 세계의 의존성과 네트워크 자체의 취약성으로 인해 사이버 테러 공격을 방지할 수 없다. 인터넷의 개방성은 테러 조직이 언제, 어디서나 어떤 방식으로든 테러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법 집행기관이 테러조직의 온라인 행위를 탐지하고 추적하는 것은 어려워졌다. 특히 사물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테러리스트들이 네트워크와 시스템에서 “취약한 링크”를 찾아 사이버 공격을 하기가 더 쉬워지고 있다. 네트워크 기술 및 응용 프로그램의 발전과 함께 사이버 테러도 그에 따라 진화했다.
- 사이버 테러 진화의 논리 : 모든 것은 이유가 있어 발전하고 변화하며 사이버 테러도 예외가 아니다. 가장 깊은 동기에서 볼 때, 사이버 테러의 진화는 이익을 추구하고 피해를 피하려는 본능에서 테러 조직의 선택과 행동에 불과하다.
– 테러리스트 조직은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적응한다.
– 법 집행기관의 게임 프로세스는 테러조직이 조정하도록 조장한다.
– 사이버 기술 및 응용 프로그램 혁신은 테러 조직에 기회를 제공한다. - 사이버 테러의 진화 단계 : 사이버테러의 진화는 인터넷의 발달과 변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네트워크 개발의 여러 단계에서 테러리스트 조직은 당시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 활동을 개선하고 최적화 한다. 일반적으로 초기 사이버테러는 플랫폼형 사이버테러에 속한다. 테러리스트들의 인터넷 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함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공격하는 것이 주 특징인 공격적 사이버 테러리즘이 등장했으며 그 방법은 네트워크 기반 시설이나 네트워크 정보 시스템을 파괴하는 것이다.
– 플랫폼 기반 사이버테러 : 인터넷을 이용한 테러 선전 행위, 인터넷을 이용하여 테러리스트 기술 훈련 실시, 인터넷을 이용한 인력 모집
– 전문적 지원 단계 : 테러조직은 계속해서 네트워크의 가치와 위험을 깊이 이해하고 특정 네트워크 기술과 도구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목표를 달성한다. 이것은 법 집행기관의 활동과 의도를 숨기면서 발견 및 검증의 어려움을 증가시킨다.
– 다크넷 및 암호화된 디지털 화폐를 이용한 자금 조달 및 이체
– 강력한 암호화된 인스턴트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사용하여 커뮤니케이션
– 공격적인 사이버 테러 - 사이버 테러의 최신 진화 경향 : 각국의 법집행기관이 사이버 공간에서의 불법 및 범죄 행위에 대한 단속에 박차를 가하면서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과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사이버 테러가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 사이버 테러활동이 더욱 전문화되고 분산되고 있음
– 인터넷을 통해 대규모로 확산되는 테러조직
– 테러조직의 온라인 선전의 내용과 방법은 전문적인 경향이 있음
– 네트워크 심리전은 점차 테러리스트의 일반적인 방법이 돼
– 테러 조직이 사이버 공간에서 다른 세력과 합세
– 해커와 힘을 함쳐 사이버 군대를 구성
– 인종 분리주의 및 종교적 극단주의와 긴밀한 통합
– 사이버 테러리즘의 정치화 경향이 점점 뚜렷해지고 있음[출처 : 중국 정보보안지 12호 / 2.7.]
댓글을 남겨주세요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