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홈 응용 분야 지속 발전
1인 가구 및 아동 가정, 독거 노인 가정 중심으로 수요 증가

[보안뉴스 엄호식 기자]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중국의 성장세가 가장 높다. 모든 사물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스마트 홈 카메라는 안전방범 모니터링 시스템의 촬영도구에서 안전방범 모니터링, 가정 돌보미, 소통 매개체 기능을 구비한 종합선물세트와 같은 제품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으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보안뉴스 / 10.23.] 중국, 안전방범 관심 등으로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 확대

[이미지 = gettyimagesbank]

꾸준한 성장 보이는 중국의 안전방범 시장
가정용 스마트 촬영기기를 일컫는 ‘스마트 홈 카메라’는 웹 촬영기기를 기반으로 음성과 영상의 AI 알고리즘 식별, 홈 환경 맞춤형 등 차세대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 홈 IoT 시대의 산물이다. 지속적인 기술발전을 통해 와이파이(Wi-Fi), 모바일 셀룰러 등 무선통신기술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정보데이터의 수집과 코딩, 전송,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양방향 음성통화와 원격 음성대화를 지원한다.

소비자들의 안전방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2017~2022년 중국 안전방범 산업 시장규모는 꾸준하게 성장했다. 2022년 중국 안전방범산업 전체 시장 규모는 9,460억위안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했으며, 프로젝트 분야가 58.3%, 유관 제품 분야가 29.9%, 운영 서비스 분야가 11.8%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세부 분야별로 보면 프로젝트 분야는 2017년 3,760억위안에서 2022년 5,510억위안으로 46.5%(1,750억위안), 유관 제품 분야는 2017년 2,000억위안에서 2022년 2,830억위안으로 41.5%(830억위안), 운영 서비스 분야는 2017년 460억위안에서 2022년 1,120억위안으로 143,4%(660억위안) 각각 증가했다.

[보안뉴스 / 10.23.] 중국, 안전방범 관심 등으로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 확대

▲중국안전방범산업 시장규모(단위 억위안)[자료=터우바오연구원, 산업정보망]

스마트 홈 분야에서 가장 관심이 높은 품목은 스마트 홈 카메라와 스마트 조명기구, 스마트 도어록 등이며, 2022년 스마트 홈 제품류 판매 구조 현황에서 스마트 홈 카메라가 46.2%로 가장 큰 판매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스마트 조명기구(41%)와 스마트 도어록(35.4%)이 그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소비자들의 재택 시간이 늘어나며 스마트 홈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는데, 최근에는 청소로봇과 스마트 반려로봇의 발전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보안뉴스 / 10.23.] 중국, 안전방범 관심 등으로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 확대

▲2022년 스마트 홈 제품 판매 비중(단위 %)[자료=YUJU&지난대학]

스마트홈 카메라 산업, 2020~2021년 폭발 성장
중국의 스마트 홈 카메라 산업은 2020~2021년 기간 동안 폭발적인 성장을 보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가정의 안전방범을 중요시하는 추세가 이어짐과 더불어 스마트 홈 카메라의 스마트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제품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2020년 중국 스마트 홈 카메라 판매량은 4,000만대를 넘으며 스마트 홈 분야 중 핵심 제품으로 등극했다.

스마트 홈 카메라는 다기능 보유 종합성 기기로 중국 내 시장 규모는 2018년 37억위안 수준에서 2020년 77억 7,000만위안으로 그리고 2021년 117억 7,000만위안에 달하며 전년 대비 51.2% 증가했다. 그리고 2022년에는 코로나19의 일상화로 홈 카메라 소비 수요가 완만해지면서 120억 5,000만위안의 시장규모를 기록했다.

[보안뉴스 / 10.23.] 중국, 안전방범 관심 등으로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 확대

▲2018~2023년 중국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규모 추이(단위 억위안)[자료=EZVIZ Network, 터우바오연구원]

스마트 홈 카메라는 배터리 카메라와 피쉬아이(Fisheye) 카메라 등 니치(Niche) 제품을 제외하고 크게 5종류로 구분한다. 그 중 실내 PTZ 원구형 홈 카메라는 메모리 카드형과 비교해 자동 360󰔆 회전, 다각도 범위의 움직임 감지, 원활한 모니터링 등에서 우수성을 보이고 점차 실내 메모리카드형을 대체하고 있으며, 최근 실내 스마트 홈 영상기기의 주류가 되고 있다. 참고로 PTZ(Pan Tilt Zoom)는 좌우 상하로 움직이고 확대축소(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보안뉴스 / 10.23.] 중국, 안전방범 관심 등으로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 확대

▲스마트 홈 카메라의 종류[자료=EZVIZ Network, 징둥, 터우바오연구원]

 

[보안뉴스 / 10.23.] 중국, 안전방범 관심 등으로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 확대

▲스마트 홈 카메라 주요 정책[자료=공업산업부, 방송총국, 주택건설부, 중국보안협회, 터우바오연구원]

일본과 태국이 중국 가정용 카메라 주요 수입국가, 한국은 10위
중국 가저용 카메라(HS CODE 8525.80)의 수입 추리를 보면 2017년 47억 7,305만달러에서 2020년 25억 791만달러로 감소했지만, 2021년에는 26억 5,880만달러로 전년 대비 6% 증가했다.

[보안뉴스 / 10.23.] 중국, 안전방범 관심 등으로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 확대

▲2017~2021년 중국 가정용 카메라(HS CODE 8525.80) 수입액 및 증감률(단위 천달러, %)[자료=한국무역협회(KITA)]

더불어 중국 가정용 카메라의 수입대상 지역은 주로 일본과 태국, 독일, 미국, 헝가리, 영국 순이며 한국은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보안뉴스 / 10.23.] 중국, 안전방범 관심 등으로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 확대

▲중국 가정용 카메라(HS CODE 8525.80) 수입동향(단위 천달러, %)[자료=한국무역협회(KITA)]

1인 가구와 아동 가정 중심으로 수요 상승
중국의 공업신식화부와 주택건설부 등 정부는 스마트 홈 산업 발전을 위해 ①차세대 정보기술, 인터넷 프로토콜 6.0과 스마트 홈 산업 간의 응용 협력 추진 ②2025년 말까지 비교적 완비된 스마트 홈 표준화 체계 구축 ③스마트 홈 시스템이 더 다양하게 생활 현장에서 응용 정착되도록 장려 등과 같은 정책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

[보안뉴스 / 10.23.] 중국, 안전방범 관심 등으로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 확대

▲중국 스마트 홈 카메라 주요 기업[자료=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샤먼무역관은 “현지 가전제품 벤더사에 따르면, 스마트 홈 카메라에 대한 소비자 구성에서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구매량이 가장 크며, 1인 가구의 경우 수시로 편하게 문 밖 현관 모니터링이 가능한 제품과 스마트화된 제품들에 대한 관심이 많다”고 전했다. 이어 “노인과 아동이 있는 가정에서 노인과 아동의 활동 상황을 체크하기 위해 많이 구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현지 A기업의 스마트 홈 카메라 제품 중에는 물체와 사람 얼굴 및 인체에 대해 자동 트레킹과 360도 회전으로 스마트화된 모니터링이 가능한 품목들이 출시되고 있고, 독거노인 온라인 감시서비스를 제공해 독거노인 가정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고 전했다.

KOTRA 샤먼무역관 측은 중국의 사회구성과 수요 변화에 따라 확대되고 있는 스마트 홈 카메라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향후 해당 시장 분야의 비즈니스 협력을 위해 스마트 홈 시스템과의 연동 강화와 홈 카메라 관련 제품의 촬영 범위 및 저장 시간 확대, 다양한 기능 탑재 및 스마트화 기술 개선 등의 방안을 마련하고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엄호식 기자(eomhs@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